산업보건환경과는 유익하고 건전한 환경을 조성하여 인간에게 유해한 인자를 최소화하는 과학적 다기능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.
이를 위해 본 학과는 지역사회의 환경적, 산업적, 보건적, 행정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활환경에서 근로환경까지 인간이 안전하고 쾌적한 여건에서 생활할 수 있는 산업보건 및 생활환경 최적관리방안에 관한 내용을 이론과 실습 중심으로 교육한다.
특히 본 학과는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주요 전문 분야를 산업보건과 환경으로 구분한 특화교육을 수행하며, 수요자 중심의 밀착형 교육으로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보건관리, 환경위생, 의료행정 분야를 융합한 다기능 전문직업인 양성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.
교육목표
- 취업경쟁력이 강한 산업실무형 측정분석전문가 양성
- 능동적이고 전문화된 현장실무형 측정분석전문가 양성
- 특성화교육을 통한 특화된 측정분석전문가 양성
- 환경매체별 오염물질 전문분석형 다기능 측정분석전문가 양성
- 인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측정분석전문가 양성
직무능력
- 취업경쟁력이 강한 산업실무형 측정분석전문가로서 산업보건 및 환경 질을 관리 할 수 있다.
- 능동적이고 전문화된 자기주도적 현장실무형 측정분석전문가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.
- 특성화교육을 통한 특화된 측정분석전문가로서 환경 관리 및 측정분석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
- 환경매체별 다기능 측정분석전문가로서 환경오염 예방 및 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.
- 팀프로젝트식 수업을 통한 산업보건 및 환경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.
산업보건환경과 발전전략
- 현장실무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
- 현장실습, 산업체 특강 등
현장교육 강화
- 팀프로젝트식 수업을 통한 실무능력 강화
- 수용자 학습능력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
교수법 적용
- 전공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상담 전문지도 강화
- 이론과 실습 배양중심의 교육 활성화
- 산학협력 업체 지속적 발굴
- 산업체기술지도 자문 확대 및 취업
연계 활성화
- 취업분야별 심화교육 및 취업 강화
- 맞춤형 취업상담 및 지도 강화
수요자중심교육 강화
- 수요자 학습능력에 맞춘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개선
- 전공 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상담 전문지도 강화
-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교육활성화
현장실무중심교육 강화
- 현장실무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
- 현장실습,산업체 특강 등 현장교육 강화
- 팀프로젝트식 수업을 통한 실무능력 강화
산학협력강화 및 취업활성화
- 산학협력업체 지속적 발굴
- 산업체 기술지도, 애로기술 확대
- 취업분야별 심화교육 실시
- 맞춤형 취업상담 및 지도